Skip to content

조회 수 3693 추천 수 1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75538495286212B07E99B

- 음악의 킥(Kick)만이 킥(Kick)은 아니다.



1.2 킥의 메이킹과 또 다른 생각?

 킥은 보통 신디사이징을 이용한 제작을 하는 방법과 기기(드럼신디사이저)의 녹음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필자는 지금 글을 보고있는 모두가 아이디어가 항상 가득한 아이디어 뱅크라고 생각한다. 갑자기 이말을 왜 하냐고 한다면 신디사이징이나 기기를 녹음할 시간에 더 좋은 소스를 찾아라! 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앞에 설명했던 방법이 좋은 방법이지만 우리의 인생을 짧다. 그리고 당신의 머릿속에서는 아이디어는 마구마구 떠오른다. 그럼? 시간을 아끼기 위해 동지들이여! 샘플을 써라!


1) 생각해보면 여러가지인 조합법

 킥의 샘플은 하나로도 좋지만, 어떤 방법으로는 조금 생각해보며 사용해볼 필요가 있다. 왜냐면 킥의 모양으로는 킥의 클릭음을 낼수 있는 부분(영역)과, 킥의 베이스 형태를 하고 있는 2가지 모습이 합쳐져서 만들어 진것이라 생각하면 되겠다. 


2337084B5286213E34D8F8

- 킥의 모습 : 클릭 영역 + 베이스 영역


  • 앞부분에 상당히 조밀하게 있는 부분에 파형의 개수가 많거나 모양이 베이스 영여과 다르다면, 킥에 디스토션이나 이큐를 사용으로 제작된 킥이다.
  • 크기차로 인해 클릭영역이 어딘지, 베이스 영역이 어딘지 한번 가늠해보자. 
  • 파형은 줄로 많이 그어 놓지만, 위 아래로 가는 모습은 실제로는 우퍼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 
  • 음악을 틀면 필자는 춤을 잘 출 수 있다. 



#여기서 잠깐! 

 위의 것들을 보았는대도 이해가 안간다면? 간단하게 알고 넘어가야 할 부분들이 몇가지 있다. 이것은 이후에도 신디사이징의 초석이 될터이니, 자라나는 새싹은 마구 밟자라는 나의 신조와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2201934C5286216C36EDC3
2142203D52861E170BE044

- 지금은 모든 자료가 없어진 전자소년님의 블로그에서 가져왔던 그림(출처는 확실히!).


2) 음높이(Pitch)

 어떤 분들은 프리퀀시(Frequency)라 부르고 어떤분들은 이것을 피치(Pitch)라 부른다. 물론 공통으로 사용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림을 봐도 알 정도라면 당신은 이미 천재! 여기에서 봐야 할 것은 1초에 한번 떠느냐! 무진장 많이 떠느냐의 차이가 있다.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Mp3로 그 속에 44kHz라는 것은 1초에 44,000번 떨 수 있다라는 것이다. 

  • 움직임이 적은 파형은 낮은음인 저음을 표현하고
  • 움직임이 많은 파형을 가진쪽은 고음을 표현한다.


2735FF4B5286215E0A3315
- 파형의 모양을 보고도 소리를 가늠할 줄 알아야한다.

3) 음색(Tone)
 톤(Tone)이나 팀브레(Timbre)라고도 불리며 소리의 색을 얘기한다. 쉽게 얘기해서는 밝기라는 것을 말한다. 사인파형처럼 부드럽고 풍부한 소리를 내는 한편 톱니파는 차갑거나 날카로운 소리를 낸다. 이 정도차를 생각해보면 얼마나 모양이 딱딱하거나 찌그러져 있는가에 따라서 소리의 밝기를 예측 할 수 있다.


2341163B52862AEC03E7B7
- 드럼앤 베이스그룹으로 잘 알고 있는 펜듈럼(Pendulum), 그 중 2명이 EDM씬에서 영향력이 큰 '나이프파티(Knife Party)'라는 듀오로 활동하고 있다.

4) 킥에 베이스가 있다고?

 여기에 드럼 치신분 계시나요? 아마 있을것이다. 드럼의 튠을 조절은 어떻게 하는것일까? 바로 A4가.. 아닌 440Hz영역대의 음원을 놓고 조율하는게 일반적이다(그게 그거잖아!). 그렇다면 모든 킥의 베이스음은 다 440Hz의 영역대에 있는 소리인가? EDM에서는 그 킥이 일반적이라 생각할 순 있겠지만 각자의 소리는 다 다르다. 또한 그 킥에 대한 베이스 소리도 다르다는것! 한마디로 조율의 차가 있다는 것이다.


# 오늘의 이야기를 마치면서!
 여기서 우리는 2가지 방법을 생각해서 제작을 해볼건데, 중요한것은 이 방법이 꼭 정답이라 얘길 할 순 없다. 하지만, 여러가지 방법중에 이런것도 있다고 생각하면 나중에 쓸모가 많을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이 당신이 곡을 만들때에도 엄청난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이라 필자는 언제나 생각한다. 

 다음  시간에는 킥의 제작 방법으로 들어가 "킥의 클릭영역과 베이스 영역의 2가지, 또는 3가지로 나눌수있게끔 하는" 시간차를 이용한방법, 또한 "킥을 음역대로 나눠 저음,중음,고음 순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음역대를 이용한 방법으로 제시를 해보도록 하겠다. 물론 다음 이 시간에 말이다 ^0^/

  1. 0.04 For EDM - 기초편 - 샘플러(Sampler)와 친해지기

    #들어가기에 앞서.. ‘갑자기 샘플러라고.. 처음이라 아무것도 모르는데..‘ 음악은 즐겁게 해야 되지 않는가?!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시퀀서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소리가 나온다!’ 라고 생각하는 것들은 가상악기(Vsti)가 아니면 샘플...
    Date2014.03.07 BySt.Emilio Views2706 Votes5 file
    Read More
  2. 0.03 For EDM - 기초편 - 템플릿(Templates) 만들기

    # 들어가기에 앞서.. 템플릿이 무엇인가? 궁금하다면 하얀 스케치북과 여러 줄 그어진 초등학생 때의 노트를 비교해보자. 별로 구별할게 없을 것이라 생각을 하지만, 알고 보면 스케치북도 하나의 템플릿이고, 줄이 그어진 노트도 템플릿이다. 사용자...
    Date2014.03.07 BySt.Emilio Views3179 Votes2 file
    Read More
  3. 0.02 For EDM - 기초편 - 한번쯤은 꼭 써먹을 줄 알아야하는 단축키(Hot Key)

    # 들어가면서... 왜 단축키인가? 곰곰히 생각해보면 별거 아닌거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책에 맨 앞장에 나오는 내용! 바로 단축키가 되시겠다. 이걸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눈을 감고 자신의 음악을 들으면서 키보드(Keyboard)를 건반(Master Keyboard)...
    Date2014.03.07 BySt.Emilio Views2509 Votes4 file
    Read More
  4. 0.01 For EDM - 기초편을 시작하면서..

    # 시작하면서 조금의 양이지만, 별로 되지 않는 킥의 제작관련 연재분과 이후 더 나올 드럼 시퀀스- 부터 신디사이저, 음향학 부분까지 제작을 하는 가운데... 난이도가 다소 높다는 질문이 많고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어떻게 저렇게 하느...
    Date2014.03.07 BySt.Emilio Views1823 Votes6 file
    Read More
  5. 1.05 킥(Kick) - 튠 잡기, 사용하기, 리듬으로 찍어보는 실전!

    - 튠(Tune)보다 튜나(Tuna)가 더 익숙한말. 고추참치는 밥도둑이다. # 들어가기에 앞서서 많이들 연습하셨나 모르겠다. 오늘부터는 배운것들을 총 집합해서 실전으로 써먹기로 하자. (솔직히 이런거만 바라시는 분이 있을것같다.. 웃음) 바로 시작...
    Date2013.11.20 BySt.Emilio Views4227 Votes2 file
    Read More
  6. 1.04 킥(Kick) - 위상(Phase)차와 사이드체인(Sidechain)을 이용한 방법

    # 들어가기에 앞서서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있는 가정용 전기의 종류는 무엇일까? 바로 교류다. 직류와 교류의 차이는 무엇일까? 직류는 일정한 전압을 지속적으로 보내는것과, 교류는 +극과 -극의 극성을 띄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 ...
    Date2013.11.18 BySt.Emilio Views6689 Votes8 file
    Read More
  7. 1.03 킥(Kick) - 시간차(Delay)와 음역대(Frequency)를 이용한 방법

    # 이전 시간을 한번쯤 생각해보면서,, 공부는 조금 되었는가?(쓴게 있어야지..) 그러면 시작해야되는건 바로 복습! 초중고시절에 선생님은 예,복습을 잘하라고 하시지만 결국은 복습을 잘해야만 실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걸 명심하고 또 명심하자. 저번 시간...
    Date2013.11.17 BySt.Emilio Views11494 Votes9 file
    Read More
  8. 1.02 킥(Kick) - 제작에 들어가기 앞서..

    - 음악의 킥(Kick)만이 킥(Kick)은 아니다. 1.2 킥의 메이킹과 또 다른 생각? 킥은 보통 신디사이징을 이용한 제작을 하는 방법과 기기(드럼신디사이저)의 녹음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필자는 지금 글을 보고있는 모두가 아이디어가 항...
    Date2013.11.15 BySt.Emilio Views3693 Votes10 file
    Read More
  9. 1.01 샘플러

    0. 간단하게 다시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사이트에 연재했었던 For EDM -킥-편을 올려놓고, 조금 살펴보아 많은 질문들을 듣고 보고있었습니다. 몇 번의 글을 엎고 또 엎고 하여서 결국에는 좀 더 세분화해서 설명을 해보자라는 결론으...
    Date2013.11.15 BySt.Emilio Views4297 Votes5 file
    Read More
  10. 0.0 For EDM을 시작하면서,,

    #글을 어떻게 읽어야하나? For EDM은 많은 분들에게 제가 생각했었던 '활용과 실전'이라는 큰 주제를 놓고 시작을 했으며, 기본적으로 중급자(스스로 신디사이저의 기본정도는 이해했다!)라는 분에게 권하고 싶지만, 초심자가 보더라도 이해하고 ...
    Date2013.09.10 BySt.Emilio Views4887 Votes13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대표자 이름 : 강제헌 / 사이트 관리자 : 김상연 / 메일주소 : stemilio@flstudio.co.kr 전화번호 : 010-4565-4330 / 통신 판매번호 : 제10-309호 / 사업자 등록번호 : 603-90-91179

Supported by Let's FL, Makesound, Designed by St.Emili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