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스피커 구매시 조금이나마 도움되시라고 한자 적어봅니다

by Technical_Killer posted Apr 01,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공지사항 음악작업 관련 질문은 질문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공지사항 Let's FA는 중고거래 관련 게시물을 허가하지 않습니다. 참고해 주세요.

우선은 , 이런글을 작성하게된이유가 어떤분의 쪽지때문에 작성하게되었습니다.. 

제가 이런질문이있을때마다 일일이 답변하는것도 무리가있고 , 다른님들도 알고계시면 좋을듯하여 이렇게나마 글을 작성하게되었습니다....



장비에종류는 여러가지들이있습니만 ,,

보통 뮤지션들이 음향에서는 제일 관심있어하는게 스피커이기에 스피커로 예를 들어볼려고합니다..

우선 설명을 드리기에앞서 어떤제품으로 설명을할지 고민을 좀 했었습니다..

요즘 뜨고있는제품? , 평이좋은제품? ,가성비에괜찮다고말하는제품?등등 여러가지 이유로 고민을하다가. 

스튜디오를 방문하면 안방마님처럼 볼수있는 ""바둑이""라고 불리는제품에대해 설명을하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비록 ,단종이된제품이지만 , 지금도 스튜디오가면 안방마님처럼 볼수있는 제품이며 , 명기중의 명기인지라 이제품을 선택했습니다!!!!!!!

그럼 , 바둑이라고 불리는제품의 패스브형식의 스피커인 Yamaha NS-10m이라는제품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우선 이친구의 스펙을 따와봤습니다..


Features and Specifications

Dimensions: Width: 15.00 inch
Height: 8.50 inch
Depth: 7.80 inch
Weight: 14.00 lbs
Loudspeaker Type: 2 way bookshelf
Frequency Range: 60 Hz to 20 kHz
Power Handling: 60 watts (program), 120 watts (max)
Nominal Impedance: 8 ohm
Sensitivity 1 W / 1 m: 90 dB SPL
Crossover Frequency: 2 kHz (12 dB / oct)
Components: LF JA1801 (18 cm cone), HF JA0518A (3.5 cm soft dome)
Enclosure: Real wood, black finish


대부분 이걸보시면 이런 생각을 하셨을껀니다.....

"누구냐? 넌 !!"


자 그럼 제가 한번 설명을 드리도록하겠씁니다..


Dimensions

:이제품의 사이즈를 얘기하는건니다.. 가로+세로+넓이 이렇게 보시면됩니다..


Weight

:이제품의 무게를 뜻하는건니다..(14lbs를 Kg으로 계산하면 대략 6.3kg 정도입니다)


Loudspeaker Type 

:타입을 얘기해주는건니다 .. 

 우퍼와+트위터로 만들어져있는 2-way형식의 북셀프형식의 스피커라는걸 뜻하는건니다

 그럼 제가 여기서 퀴즈를 하내겠습니다...

"우퍼2+트위터1"는 몇웨이 스피커일까요?!

 "정답!!! 3-way 스피커!!!입니다" 

 아닙니다.. 그렇지않습니다..정답은 2-way입니다.. (그 이유는 제가 뒤에 설명을 드리도록하겠습니다)


Frequency Range

: 주파수영역대를 뜻하는건니다...

  참고로 이부분 상당히 중요합니다.. 여러분들께서 스피커뿐만아니라 리스닝제품들을 구매시 꼭 봐야되는 중요한 한가지 사항이기때문입니다..

  이 표시가 무엇이냐면 , "이스피커는 60hz~20Khz까지 표현을할수있다."라는 의미입니다

  사람에따라 들을수있는주파수가다르지만 보통 가청주파수가 보통 20Hz~20KHz까지라고합니다,,

  참고로 이부분 이해하시고 넘어가셔야합니다

  

               20hz                             ~                      60hz                                      ~                      20KHz                                             

  사람이들을수있는 영역의시작점      ~     이스피커가 표현을할수있는시작점             ~             사람이 들을수있는마지막점


  그럼 이런 의문점을 드실껀니다,,

  "그럼 20kh~60kh사이는 표현이 안된다는거야?!"

  그렇습니다..보통 250hz부터 이하의영역들을 저음이라고말하는데 20kh~60kh사이의 저음영역을 포현하지못하는건니다.

  그렇기때문에 10M이 저음이없다는 얘기를 많이하는건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바둑이 안좋은제품이네!!!" 그렇게 생각하시면안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둑이가 스튜디오마다 안방마님처럼 지키고있는건 이유가있다는건니다. (명기는 확실한 명기라는말입니다)

  이말을듣고나니 ,주파수영역이 쫍은것보다 넓은제품을 많이 선호하겠죠?!?!

  예를들어 저음위주의 음악을하시거나 , 저음이풍부한제품을 원하신다면 , 저음영역대가 넓은제품을 선택하시면된다는말입니다


Power Handling

:이건 스피커가 지속적으로 낼수있는 출력의 한계를 얘기합니다 . .  

 그렇다면 "60 watts (program), 120 watts (max)" 이것은 도대체 무엇을 뜻하는가의 의문점을 가지실껀니다

 사실여기에 기입되어야할것중에 빠진 한가지가있습니다..

 무엇이냐면 30 watts(RMS)라는 표기입니다

 RMS가 무엇이냐면 정격출력이라고하는데 , 지속적으로 나올수있는 실효치값이라 생각하시면됩니다..

 쉽게 이스피커는 30 watts(RMS)이하로는 연결하지 말아주세요 ,그럼 힘을 못내요 ㅡoㅡ

                      60 watts(Program)에 연결을 해주시면 좋아요~ 힘이나요!!!

                    120 watts(Max)는 이수치를 넘으면 안돼요~스피커의파손될수있어요!! 이런 의미로 생각하시면됩니다..

 이것도 공식이있는데 ,그냥 쉽게 바둑이제품으로 기준으로했을대 Program값을기준으로 편차가 +,-10watts 정도로 생각하시면되고 , 그렇다면 50~70 watts의범위가되는데, 

 이정도값에서 좋은출력이 나오는구나!!라고 생각을하시고 , 이런식으로생각한다면, 다른제품들을 사용을하실때도 얼마를써야할지 평균치가 대략 나오실껀니다

 그럼 ,"도대체 적혀있지도않은 30 watts(RMS)라는 수치가 어떻게 나온것이냐?!?!""라는 궁금중을 가질수있는데 

 답은 간단합니다.. 

 ""Program값의반이.. RMS의 값입니다"" 

이것이 로그(log)법칙이라는건데 , 그것이 무엇인지는 뒤에 설명을 드리도록하겠습니다..


Nominal Impedance

: 스피커에 적용되어있는 공식임피던스값을 말하는건데 

 낮을수록 저항값이 좋다고하는데 보통 스피커들은 8옴에서 제일 좋은소리가 난다!!라고 그렇게만 알고계시길바랍니다.. (좀 무책임한 답변인가요?!)


Sensitivity 1 W / 1 m

:""Senstivity 1 w / 1 m"이건 또 뭐야?!?"" 하실껀니다. 

 이게 무슨뜻이냐면은 1와트의 출력을 물렸을때 1미터앞에서 얻은값을 뜻하는건니다.. 그리고 그값이 바둑이가 90db데시벨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log법칙에대한 설명이 시작됩니다..

 로그법칙이 무엇이냐면 , 제곱의출력이 가해졌을때 음압이 3db이 상승한다는원리입니다 .. 

 제가 정리를 해보면 이렇게됩니다


watts(와트)    1      2      4     8     16       32      64       128       

db(데시벨)    90    93     96   99    103     106    109      112      


 와트는 제곱이되지만 데시벨은 +3씩만 올라가죠?!?! , 그리고 바둑이가 120watts가 Max이기때문에 총데시벨이 112데시벨 조금 못 미친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만약 그 한계점이 넘게되면 스피커에 손상이오겠죠?! (그래서 120 watts 이상은 물리지말라고 Max라고 표기가되어있는건니다)

 하지만 , 여기서 로그법칙에대해 조금만 더 이해 시켜드리도록하겠습니다..

 제가 퀴즈를 하나내겠습니다 .. 

 예를들어 100데시벨을 내는스피커가있습니다. 여기서 똑같은 100데시벨스피커가 더해지면 소리의 총합은 얼마쯤될까요?!?!

 보통 사람들이 150데시벨은 넘겠지하는데.. 답은 103데시벨입니다.. 이게 로그법칙입니다..

 즉,제곱으로 4통 ..8통..16통 늘려가도 소리의 총합은 3데시벨밖에 올르지 않는다는법칙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엔지니어들이 1데시벨을 올리기위해 본인의 노하우,알고리즘,등등 많은시간과 엄청난 노력을하는건니다..

 간혹 제품들중에 Ver.2이런식으로 나오면서 데시벨이 1이라도 올라가는제품들이있는데 그거 정말 박수쳐줘야하는일이라는얘기입니다(엔지니어의 엄청난 노력이 있었다는건니다)

 그리고 이부분이 로그법칙이 적용이되기때문에 제가 아까 파워핸들링부분에서 로그법칙에 대해 언급을한건니다

 하지만 ,여러분들께서 사용하시는 스피커들은 보통 이런식으로 표시가 안되어있고  

 Max SPL 혹은 Peak SPL 혹은 다른표기법으로 최대데시벨만 적혀있는 제품이 더 많을껀니다..

 더이상의 로그법칙에대해서는 전문적인거라 깊게 알필요가없기에 이정도만 아시면될듯합니다.. (정 궁금하시다면 개인적으로;;)

 참고로 낮은와트에 큰데시벨을내는제품이 좋은제품입니다.. 


Crossover Frequency

: 이건 무엇이냐면은 여기서 제가 아까얘기한 Loudspeaker Type에 못다한 설명을 할것입니다.. 

  보통 2way스피커라고하면  저음+고음으로 구성된것입니다.

 ""그럼 미드대역의 소리는 ?!?!""  이렇게 생각하실수있는데 

 저음에서도 미드소리를생성하고 고음에서도 미드소리를 생성하기에 미드영역의 소리가나는것인데 , 

 "그 미드영역을 정한 주파수의지점"을 크로스오버라고하는데, 바둑이는 이지점이 2khz라는건니다..

 자세한 설명을 들어가지는않겠지만 , 크로스오버포인트가 정말 중요합니다 . . 

 "이 지점이 조금 잘못지정되도 완전 다른소리가나기때문에 엔지니어들이 정말 심사숙고해서지정한 포인트다" 이정도만 알고계시길바랍니다

 그리고 3-way스피커는 저음 , 미드 , 하이 이렇게 따로 영역별로 다 붙어있는제품이 3-way입니다..



Components

: 이건 부품에 대한 설명입니다..(우퍼와 트위터크기 적어놓은건니다)


Enclosure

: 제질에 대한 설명이라 보시면됩니다. (진짜나무를 사용했으며 검은색으로 마감을했다 그런내용입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들께서 얼마나 많은 도움이되실지는 모르겠지만 , 스피커 구입할때 조금이라도 참고되시기라고 한번 적어봤습니다

그리고 , 저의직업에대해 자세히물어보시는분이계신데 , 그런부분에 대해서는 함구하고싶습니다^^;

어쨋든 좋은음악생활하시길바랍니다..


Articles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