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불법 및 크랙 질문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불법관련 질문시 한달간 아이디 정지됩니다.
하드웨어 관련 질문인가요? 오디오 인터페이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업그레이드 할 계획을 가지고 차근 차근 알아가고 있습니다.


알고 싶은 점이 몇가지 있는데 아시는 부분만 조언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선정의 우선순위를 어디로 두시는지 궁금합니다.

(ex: 단자 지원, 음색, 편의성)


2.  인기 브랜드에서 가격대군의로 몇가지 제품을 내놓는고 있는데

가격차이에 따른 차이도 궁금합니다.

(단자 지원이나, 음악의 출력량[단순한 음악의 볼륨], 이외에 음색이나 음악의 출력의 질의 차이도 큰지 궁금합니다]


3. 그냥.. 알고계신 요즘 인기 브랜드나,, 모델,, 관련된 정보를 볼수 있는 웹사이트 등 추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번외..


4. 스피커도 생각은 하고 있는데.. 2번과 비슷한 맥락의 질문인데.

같은 브랜드의 가격대군의 제품이 출력량 말고 음색이나 음악의 해상도에도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
    Technical_Killer 2016.03.28 16:16

    우선 막선을 쓰시면 케이블부터 바꿔보시기 바랍니다 . .

    지금은 장비가 안좋아서 좋은장비로 업그레이드하면 해결된다는 답답한소리하시는분들 많으신데 , 룸어코스틱환경 다음으로 케이블이 제일 중요합니다 . .

    좋은 장비로 업그레이드 암만해도 막선쓰면은 안하는것만 못하다는말이 그냥 하는말이 아니라는건니다...(제 성능 안나온다는뜻입니다)

    고작 케이블이라고 말하시는분들이 정말 많으신데 , 케이블 교체만으로 소리에 어떤 변화가 오는지 모르기에 그런말을하는건니다...

    왜곡부터 시작해서 , 흐릇했던 소리들이 뚜렷해지고 , 둔탁했던소리들이 명료해지고 하튼 선명도 명료도 등등 전체적으로 좋아집니다..

    제가 오죽하면 지인들 개인작업실 다닐때 케이블 챙겨 다닙니다...


    좋은 소리를 위해서는 모니터링스피커가 최고라는 말을 많이 하시는데 거기에 부수적으로 따라줬을때 얘기입니다...

    1순위는 룸환경 , 2순위 케이블이 충족이됐으면 모니터스피커의 성능이 나온다는 말입니다.. (당연히 오디오인터페이스는 기본베이스로 있어야하구요)

  • ?
    Technical_Killer 2016.03.28 16:38

    그리고 오디오인터페이스 선택시 크게 3가지로 나누라면 녹음에 중점을 둘것인지 , 모니터음질에 중점을 둘것인지 , 편의성에 중점을 둘지로 나누어지는편인데
    편의성은 접어두고 오로지 성능적으로만 볼때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Converter)가 좋으면 좋을수록 성능이 좋은건니다.

    DAC가 무엇이냐면은 디지털을 아날로신호로 변환되는것이고 , ADC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되는것입니다.. 어쨋든 이과정에서 컨버터가 좋을수록 녹음이든 모니터링 전체적인 퀄리티가 뛰어나다고보시면됩니다..

    예를들어 켬퓨터 안에 들어있는 음악파일은 디지털입니다. 그걸 스피커로 들을라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야하는데 얼마나 좋은 DAC에 따라서 결과물이 달라진다는말입니다.(쉽게 접하는 스마트폰 이런기기들도 DAC가 있는건니다) 

    그럼 어떤게 좋은것이냐? 할수있는데 정말 단순 무식하게 "비싸면 비쌀수록 좋다!!!"입니다... 고가일수록 성능이 좋은 컨버터가 탑제되기때문입니다...(이런점때문에 홈레코딩에서는 가성비 가성비 하는건니다..)


    사실 이부분은 제가 렛츠FL에 컬럼을해야지하고 벼르고있긴한데 집필능력+귀차니즘때문에 못하고(안하고?)있는 부분중에 하나입니다

  • ?
    BooSoul 2016.03.28 23:33

    매번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제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장비가 motu 896 시리즈로 당시 dac로는 거의 상위급 모델로 생각하고 구매를 했었습니다.

    지금은 단순히 시기도 오래되고 편의성이나 녹음 사용 비중이 적어 다운 시켜 물건을 구입할 예정 이었는데
    답변 주신 내용을 읽어보니 조금더 생각을 해봐야 될 문제이긴 하네요..

    저.. 그럼 혹시 스피커도 가격에 따라 출력량 이외의 해상도나 음색에도 영향이 있는건가요..??

    예를 들어 krk 제품 같은 경우데 vtx 4 와 6의 사양적 차이는 우퍼의 인치수와 저역대의 응답률 . 그리고 출력량 정도 되는거 같은데

    이것을 제외한 해상도와 음색에도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
    Technical_Killer 2016.03.30 14:59
    소리라는게 120db(데시벨)가 넘어버리면은 사람귀가 고통스러워서 버티지를 못하는 수치입니다..(실직적으로 그정도 출력이면 모니터링 못합니다^^;)
    그리고 사람귀는 쓰면 쓸수록 닳는 소모품이기떄문 소리에관련된 직업을가지신분들 특히나 귀관리를 잘하셔야합니다. .(그래서 나이가 많은 노인분일수록 귀가 잘 안들리시는건니다.)
    저역시 청력보호차원에서도 크게 듣는건 권고하지 않는편입니다..     이런 이유때문만이라도 115db을 초과하는제품들 그렇게 많지않을듯(?) 싶습니다..

    그리고 vtx 4 와 6로 예를든다기보다는 똥(?)성비만 아니면  , 좋은제품일수록 해상력이나 선명도가 당연히 좋고 뛰어날수밖에없습니다... 
    평소에 스피커를쓰면서 느끼셨을지 모르겠지만 , 스피커가 작은소리에서 큰소리로 높아질수록 스피커가 가지고있는 성향에따라 로그법칙에 의거하여 중고역부분부터 데시벨값이 켜지기시작합니다..
    그런데 , 소리만 높아지면되는데  """출력값이 켜질수록 노이즈값도 같이 증가""""한다는건니다 , 그리고 이 노이즈가 1차적으로 소리 왜곡의 주범입니다. (노이즈값이 적을수록 원음에 가깝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좋은제품일수록 노이즈를 줄이기위해 좋은제품 +좋은기술력+노하우로 제작된다고 보시면됩니다..
    그외에 콘지 , 우퍼나트위터 성향&형식 , 제질 , 나무로 설계를했다면 어떤나무를 사용했는지 등등 이 모든것들이 소리에 관련이있기때문에 고가인제품들은 좋은소리를 내기위해서 좋은제품이 들어가기에 고가일수록 소리가 좋은건니다..

    하지만 젤 중요한건 그걸 가릴수있는 귀와 능력이 우선시되야한다는것이지요^^~
  • ?
    BooSoul 2016.03.31 15:14
    그렇군요 . 제가 완전 일차원적인 생각만 한 것 같습니다. 물건 사는데 아주 큰 기준이 되는 말씀 주신것 같아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질문게시판은 "포인트제도" 를 이용합니다. 42 makesound 2014.08.10 4528 6
공지 질문게시판에 올린글은 삭제가 안됩니다. makesound 2014.08.10 6466 1
공지 질문 게시판 - 검색 방법 해설입니다. 6 Let's FL 2013.10.05 3349 2
공지 상식을 벗어난 무례한 질문 태도는 접속금지입니다. 6 Let's FL 2012.12.19 29596 2
공지 렛플 전게시판에서 불법적인 소프트 이용에 대한 요청,질문,답변시 계정 접속금지 합니다. 6 makesound 2011.06.15 52972 0
공지 질문의 작성은 회원레벨1 포인트90점 부터 가능합니다. 질문당 포인트 -10점이 차감됩니다. 38 makesound 2011.05.10 51686 4
8436 피치오토메이션과 볼륨오토메이션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Realn 2016.04.09 237 0
8435 이런 pad 음은 sylenth 로 어떻게 구현 가능할까요 ㅠㅠ 경마 2016.04.09 241 0
8434 Maximus에서 Pre gain과 Post gain에 대해 알려주세요. 2 형철 2016.04.09 280 0
8433 WAVE사 MASEATI VX1에서 컨트롤러3대해 2 으르렁으르렁 2016.04.08 206 0
8432 fl studio 12에서 외부 vst 를 불러오면 sampler로 뜹니다 1 리더본 2016.04.08 284 0
8431 이 웨유유유융 하는 소리의 프리셋이있는지, 없다면 만드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file PHILOGOS 2016.04.07 153 0
8430 z3ta+2 스팀에서 구입한뒤 사용하려는데 에러가납니다. 2 file 섹시힙합맵시 2016.04.06 206 0
8429 플러그인 연결 순서 2 -Drama- 2016.04.06 261 0
8428 Mixer 의 Effector slot 하단 EQ Pre 인가요 Post 인가요? 천년전설 2016.04.06 112 0
8427 ableton live의 미디 컨트롤러 질문... 4 BooSoul 2016.04.06 405 0
8426 트랙리스트에 소리를 올려 놓을시 실제 dB 천년전설 2016.04.06 257 0
8425 매시브 전체 창이 보이지 않고 잘립니다. 2 MFic 2016.04.04 112 0
8424 에이블톤 라이브에선 .mid 파일 열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궁금 합니다 1 향인스님 2016.04.04 107 0
8423 유료 샘플 재질문. 2 달려라락 2016.04.03 252 0
8422 건반 선택에 고민이 있습니다. 2 BIGGGG 2016.03.31 260 0
8421 가상악기질문 1 Apu$h 2016.03.31 197 0
8420 사운드 블라스터 Z를 쓰는 중인데 SBX 효과를 끄고 믹싱하는게 나을까요? 2 Xylene 2016.03.29 270 0
8419 Dashboard에서 Edit events 했을 시 오토메이션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습니다 file lMlessier 2016.03.29 114 0
8418 SliceX나 에디슨쓸때 단축키가 잘 안먹습니다. 섹시힙합맵시 2016.03.29 95 0
8417 혹시 캐나다에서 음악 작업하고 계신 분 계시나요 ? 3 MOONZ 2016.03.29 280 0
8416 사운드 샘플 pitch 관련 질문입니다ㅠㅠ SpaceOddity 2016.03.28 189 0
» 오디오 인터페이스 추천 및 선정 방법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5 BooSoul 2016.03.28 353 0
8414 리믹스컨테스트나 자작곡공모전등에 정보나 소식모아놓은 싸이트있나요? 2 에와디 2016.03.27 221 0
8413 마스터건반을 세게쳐도 벨로시티가 작게 먹네요 1 조쉬본 2016.03.27 231 0
8412 stereoshaper 수치 값 질문. 3 file slowdown 2016.03.27 373 0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386 Next
/ 386

대표자 이름 : 강제헌 / 사이트 관리자 : 김상연 / 메일주소 : stemilio@flstudio.co.kr 전화번호 : 010-4565-4330 / 통신 판매번호 : 제10-309호 / 사업자 등록번호 : 603-90-91179

Supported by Let's FL, Makesound, Designed by St.Emili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