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818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불법 및 크랙 질문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다른 DAW
사용하시는 DAW를 알려주세요. 오디오인터페이스의 ASIO
FL Studio 관련 질문인가요? 윈도우7(64bit)

신스 vsti 의 종류가 무수히 많듯이
각각 소리의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부분은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느껴보고도 있는데
많은 사람들의 느끼는 부분에 대해서도 궁금중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어떤 synth가 어떤 쪽 소리에 우수하고 어떤 장르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이런거 말이죠.

제가 사용하고 있는신스는 nexus, sylenth, z3ta+, arturia 아날로그 팩토리, fm8 , messive ,zebra
이정도 있습니다.

그냥 제 개인적으로 각 악기에 대한 생각과 대조해보고 싶기도 하고 도움을 받고 싶어 질문합니다


ps. fm이랑 messive는 너무 어려운것 같습니다.

 

  • ?
    illey 2012.04.20 00:55

    전 sytrus 하나 쓰고있는데요. 처음에는 fm신스가 좋아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쓰다보니 다른 방식의 사운드 메이킹도 지원하고 있어서...........그냥 이것 하나만으로도 다 되더군요 -_-;;

    가끔씩 시트러스로 내기엔 오버(?)인 소리가 있는데 그건 3xosc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제 짧은 음악생활의 소견입니다만....

    어떤 신스가 어떤 소리를 만드는데 더 우수한 환경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다른 신스로 만든 소리도 또다른 신스로 충분히 재구현할 수 있으므로.. 신스보단 결국 만드는 사람 몫인 것 같습니다.

  • ?
    BooSoul 2012.04.20 01:53

    저도 이말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만

    제가 요즘 여러가지 프리셋 뒤지면서 공부하다보니 느낀게

    각 악기마다 마스터링의 특성처럼

    각자의 소리의 색이 조금씩 다르다고 느껴져서 질문 한 것입니다.

    (물론 프리셋 자체도 여러 사운드 디자이너들이 디자인한 프리셋을 포함하여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ㅎ)

     

     

    프로나 많이 공부하신분들은 각 악기에 대하여 어떻게 분별하여 사용하나 하는 궁금중이 있어 질문해보았습니다 ㅎㅎ

     

    넥서스나 아날로그 팩토리 같은경우에는 샘플화 되어있는거기 때문에 특성이 샘플에 따라 흐를수 있다 생각 되어지지만

    그 이외의 것들은 분명 느낌의 차이가 와닿아서요 ㅎㅎㅎ

     

    여러가지 vst를 사용한다고 했을때 프로들은 어떻게 차이를 두고 사용하는지 궁금해서요 ㅎㅎ

  • profile
    Let's FL 2012.04.20 07:50

    신스별로 다른 늬앙스를 갖는 것은,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에서부터 이어집니다.

    사실 제대로 이해하고 나면 비슷한 세팅을 했을 때, 늬앙스의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이 어디인지 알 수 있습니다.

     

    1. 오실레이터의 파형

    사실 이름은 동일하게 Saw라고 쓰여 있지만, 디지털적으로 정확하게 되어 있는 신스가 있고, Vintage Saw의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들이 있고 그렇습니다.

    여기서 일단 늬앙스가 크게 갈립니다. 개인적으로 여기서 늬앙스 차이가 40~50%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2. 필터

    사실 신디사이저의 필터는 곧 신디사이저의 음색을 결정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늬앙스 차이가 80%에 가깝지 않을까 할 정도입니다.

    차단주파수의 기울기(dB/OCT) 옵션부터 시작해서 Moog Filter라 불리는 스타일의 필터를 차용한 신디사이저. 등등 단순하게 로우패스 필터 선택후

    필터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차이가 큽니다.

     

    3. 모듈레이션 매트릭스과 특화 변조방식

    이 부분이 신디사이저의 방향성을 결정합니다. FM을 6단까지 지원한다면 완벽한 FM 신디사이저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보통은 2단까지만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SYNC 변조방식을 사용하기 쉬운 구조라면 PRO-53, POIZONE, 등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FM이 EP라면 싱크는 AP음색이 대표적입니다.

    RM은 설계가 쉬운 관계로 대부분 지원합니다만 실제 만들 수 있는 음색은 FX쪽에 가깝고 제대로 사용하려면 3단 이상의 슬롯이 필요해집니다.

    결국 특화 변조방식의 밸런스가 좋은가?를 판단하고 난 후에는, 실제 셋업을 담당하는 모듈레이션 매트릭스의 구조가 중요해집니다.

     

    MASSIVE가 어렵다고 하셨으므로 예를 매시브로 들면 1. 오실레이터 부분은 듀얼 웨이브 테이블 스타일이고, 이와 유사한 방식의 신디사이저는 Poizone과 Harmless, Konr MS-20등이 유사합니다. 물론 듀얼 웨이브 테이블은 오실레이터 2개의 조합이므로 대부분의 신디사이저로 커버할 수 있습니다만, 조작 한 번 더 하는 것을 귀찮아하는 유저가 정말 많다는 것을 떠올리면 그 자체에서부터 신디사이저 선택 기준이 됩니다. 2. 필터로 넘어가면 2개의 필터와 팬의 2X2조합방식의 필터입니다. 이것은 Z3TA+ 시리즈와 유사합니다. 2단의 직/병렬 구조가 이해하기 쉽고 밸런스를 잡기 쉽기 때문에 자주 선택되는 필터 구조입니다만, 패닝 설정이 의외로 귀찮은 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실레이터별로 패닝 지정이 가능하여 겹겹이 겹쳐나가는 레이어 스타일로 작업하는 3XOSC나 SYTRUS등과 비교하면 2X2 필터(패닝부속)방식은 음색이 서로 상당히 다릅니다.

     

    길게 썻습니다만, 요약하면

     

    1) 프로라고 해도, 프리셋만 골라서 필터만 대충 조절하는 것을 프로라고 말한다면...

    그냥 프리셋 음색을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으로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2) 프리셋 제작자에 가까운 스타일로, 음색을 직접 첨부터 만드는 비중이 높은 분들을 프로라고 말한다면...

    구조상의 이점으로 만들기 쉬운 음색을 잘 알고 있으므로, 철저하게 셋업이 편리하게 만들어진 신디사이저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프리셋내에 요즘 유행하는 덥스텝 느낌의 베이스를 포함해야 한다면 Massive의 lfo가 편리하므로 Massive를 선택할 것이고,

    음색은 신디사이저로 실제 lfo는 시퀀서로 재현한다면 오히려 z3ra+2가 음색적으로 편합니다

     

    결론은 [아는만큼 판단기준이 늘어나고 그에 맞게 선택한다]라고 생각합니다.

  • ?
    BooSoul 2012.04.21 03:04

    완전 감동 휘몰아 찹니다. 내용 5번은 정독한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운영자님..ㅠ ㅠ 진짜 이 사이트 통해서 엄청 큰거하나하나 배워가는 것 같습니다.

  • profile
    Let's FL 2012.04.20 07:58

    제 기준 간단히 적어보면 [만들때 편리한 구조]를 가진 신디사이저를 사용합니다.

     

    오실레이터의 팬 항목이 없고, 2개의 필터조합으로 팬을 결정해야 하는 구조는 아무리 오실레이터가 많아도 불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유니즌으로 대충 만들고 넘어갈 생각이라면 관계없습니다만...)

     

    FM+SYNC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때는 양쪽의 변조모드를 혼합하기 쉬운 신디사이저여야 하겠지요.

     

    X-Y 패드를 적극 활용해서 사운드를 만들고 싶은 날에는 FabFilter의 Twin을 사용합니다. X-Y 패드 라우팅이 자유롭고 2개가 기본으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보통은 1개만 지원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FM+RM 스타일의 혼합형 베이스(보통 Acid Bass로 알려져있죠)를 만들 땐 TB-303 스타일을 복각한 TS-404를 선호합니다.

  • ?
    BooSoul 2012.04.21 03:06

    참 그리고 제가 x-y 패드 하나 구입할라고 하는 그 korg의 kp3 를 구입 하려 하는데 구성자체나 내용자체 괜찮을까요..?

    x-y 패드 이외에도 여러 이팩터 효과를 보는것 같은데 실시간 연주 형식 아닌 집에서 작업할때의 이점도 더욱 안겨줄까용??!

  • profile
    makesound 2012.04.20 19:02

    제브라는 x-y4개...ㅡ.ㅡ;;;;

  • profile
    Let's FL 2012.04.20 19:19

    헐 그래요? 형님  제브라 멋지네요..'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질문게시판은 "포인트제도" 를 이용합니다. 42 makesound 2014.08.10 4528 6
공지 질문게시판에 올린글은 삭제가 안됩니다. makesound 2014.08.10 6466 1
공지 질문 게시판 - 검색 방법 해설입니다. 6 Let's FL 2013.10.05 3350 2
공지 상식을 벗어난 무례한 질문 태도는 접속금지입니다. 6 Let's FL 2012.12.19 29596 2
공지 렛플 전게시판에서 불법적인 소프트 이용에 대한 요청,질문,답변시 계정 접속금지 합니다. 6 makesound 2011.06.15 52972 0
공지 질문의 작성은 회원레벨1 포인트90점 부터 가능합니다. 질문당 포인트 -10점이 차감됩니다. 38 makesound 2011.05.10 51686 4
711 피아노롤로 노트 찍어낼 때 특정 노트의 소리를 서서히 작아지게 만들 순 없나요? 4 뉴페이스 2013.04.13 1817 0
710 보컬 녹음법 좀..또 유저 게시판에 업로드하는법도 .. 1 pway 2011.07.11 1818 0
» 각종 신스 vsti 에 대한 특성 질문이요!~ 8 BooSoul 2012.04.19 1818 0
708 FPC의 spread even 2 file Realsoup 2011.07.05 1821 0
707 트랩비트 (더리사우스힙합) 추천 vsti 좀 1 데이몬 2013.03.15 1823 0
706 와 !!>.. 요즘 대세 vsti 매시브나 FM8은 강좌없나요 ?ㅠㅠ 3 페스니 2012.06.18 1824 0
705 가상악기 소리~ 2 반항ol 2011.09.21 1826 0
704 피아노 잔향남게 하는 법이요 2 살구볼따구 2011.11.07 1826 0
703 런치패드~ 1 반항ol 2012.09.20 1826 0
702 샘플시디 확장자가 ksd입니다. 사용법이 어떻게 되나요??? 2 masquerde 2012.02.02 1828 0
701 여러가지 소리를 지정해서 컴퓨터 키보드로 연주 1 브레드염 2012.01.21 1829 0
700 작곡을 처음 접하는 학생인데요.. 4 YD쏭 2011.08.24 1831 0
699 사운드클라우드 회원작품 게시판 올리는법... YDyd 2011.12.24 1831 0
698 Slicex 에 관해 여쭤볼게있습니다. 도와주세요! 4 RealBlack 2011.05.26 1832 0
697 소스 드랍 문제입니다. 3 wannapeace 2011.05.22 1832 0
696 천상지희 '나 좀 봐줘' 코러스 파트 소스? 비조 2011.08.05 1832 0
695 여기 사용된 악기가궁금합니다 1 file 초보자 2011.07.07 1834 0
694 미디를 연결했는데... 1 ㅈㄱㅎㄴㅊㅈ 2011.05.24 1836 0
693 크리스마스느낌나는 가상악기! 3 MO13IL 2011.12.15 1836 0
692 wav 샘플 박자 변경에 대해서 김지민 2011.06.27 1837 0
691 마스터키보드에 달려있는 노브들 작동시키는 법 알려주세요 2 Alison 2012.01.15 1838 0
690 fl studio 에 바이올린있나요 ? 있다면어디있는지 ㅠㅠ 2 MOVE NO STOP 2012.06.24 1838 0
689 공간감을 느끼는 이유? 5 Hellove 2011.08.09 1840 0
688 그 악기중에 노래시작할떄나 분위기 바뀔때 스~~읍 하는 사운드 도대체 뭐죵? ㅠㅠ 3 Stork 2011.08.13 1841 0
687 트래킹 유무에 따른 차이 6 Let's FL 2011.05.16 1841 0
Board Pagination Prev 1 ...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 386 Next
/ 386

대표자 이름 : 강제헌 / 사이트 관리자 : 김상연 / 메일주소 : stemilio@flstudio.co.kr 전화번호 : 010-4565-4330 / 통신 판매번호 : 제10-309호 / 사업자 등록번호 : 603-90-91179

Supported by Let's FL, Makesound, Designed by St.Emili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